초록 열기/닫기 버튼

관세법상 보세구역은 통관에 있어 보세구역 이외의 국내와는 다른 취급을 받는다. 이로 인하여 실무상 보세구역 내의 거래와 실제 국가간 운송에 따른 거래와의 구분에 있어서 혼선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관세의 과세가격 결정에 있어 이들 거래를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여 잘못된 주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보세구역 내에서 경매를 통하여 재화를 취득한 사안인 대법원 2019. 8. 14. 선고 2019두40178 판결을 소개하고, 보세구역의 특성 및 관세의 과세가격 결정에 있어 보세구역 내에서의 거래와 실제 국가간 운송거래의 차이를 분석한다. 그 결과 보세구역은 국내법령상 관세의 부과징수권을 유보하는 구역일 뿐이기에 관세의 과세가격을 결정함에 있어서는 실제 국가간 운송거래에 근거하여 판단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증한다. 또한, 관세법의 구조와 대상 판결의 법리를 오해하여 우리 관세법이 국가간 거래에서 First Sale Rule에 따르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실제 국가간 운송거래에서 과세가격은 Bona-fide Sale Rule이나 First Sale Rule이 아닌 Last Sale Rule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WCO의 해석 및 국내외의 학설과 입법례를 통하여 관세의 과세가격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지를 정리한 내용으로서, 우리 관세법이 거의 단일법 체계로 구성되어 있어 발생하는 실무상 혼선과 그와 연관되어 논쟁이 되는 내용을 대상 판결의 평석을 통하여 정리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In accordance with the Customs Law, bonded areas are treated differently from those domestic areas for customs clearance purposes. Thus, in practice, confusion may arise in distinguishing between transactions within the bonded area and cross-border transactions. Particularly, in determining the customs value for customs duties, there are many false claim cases because of inaccurate distinguishment of these transactions. Therefore, this paper introduces the Supreme Court's 2019. 8. 14. 2019 Doo 40178 decisions, which is a matter of acquiring goods through an auction in a bonded area, and analyzes differences between transactions within bonded area and transactions between countries in determining customs valu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onded area. As a result, it is argued that, in determining the customs value for customs duties, the customs values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ctual cross-border transaction since the bonded area is only a zone that reserves the right to collect customs duties under the domestic regulations. In addi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re is a mis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Customs Law and the legal principle of the judgment, which leads to a misunderstanding that the Korean Customs Law complies with the First Sale Rule in cross-border transactions. Therefore, it is explained that the customs value is determined based on the Last Sale Rule rather than the Bona-fide Sale Rule or the First Sale Rule in the actual cross-boarder transportation transactions. This paper summarizes how the customs value should be viewed through reviewing interpretation of the WCO and domestic and foreign theories and legislative examples.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fusion in practice and related arguments are summarized through reviewing the target judgment as the Korean Customs Law is almost composed of a single law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