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부가가치세는 대표적인 소비에 대한 과세이다. 외국에서는 ‘소비행위’, ‘명목 화폐 소비지출’ 및 ‘실질소비지출’ 등 부가가치세법상의 ‘소비’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개념에 대한 논의의 부재로 인해 각 개별 조문에 대해 각기 다른 학설을 적용하여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부가가치세법상 ‘소비’의 개념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부가가치세법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은 쟁점이 명확하지 않은 채로 논쟁하는 것이기에 무의미한 측면이 있다. 저자는 본 논문에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부가가치세법은 ‘명목 화폐 소비지출’에 대해 과세하는 방식으로 입법되었다는 점을 논증하면서 부가가치세법상의 ‘소비’는 ‘명목 화폐 소비지출’이라는 점을 주장한다. 이후 명목 화폐 소비지출 과세설을 전제로 하여, 소비지출의 경제학적 정의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확인하고 그 과세표준의 산정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소비’의 개념 정의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는 예시로서 ‘간주공급’에서의 ‘시가’ 개념을 소개한다. 결론적으로 명목 화폐 소비지출 과세설에 따른다면, 간주공급에 적용되는 ‘시가’의 개념은 ‘매출 가격’가 아닌 ‘매입 원가’를 과세표준으로 삼아야 하며, 매입원가에 더하여 일정한 재화나 용역이 투입된 경우라면 당해 부분을 반영한 ‘원가’를 과세표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The VAT in Korea is a representative tax levied on consumption. While in foreign countries there have been debates about the definition of consumption, such as the theories of “consumption behaviors”, “nominal consumption expenditures”, and “real consumption expenditures”, there is no clear discussion addressed directly in Korea. For this reason, different theories are sometimes applied to each individual article. Given that most of the academic discussions on the VAT law are based on one of these theories, discussing the VAT law without a clear theoretical definition is meaningless, as it is an unclear issue to debate. In this paper, the authors argue that the VAT law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s legislated such that “nominal monetary consumption expenditure” is taxed(nominal monetary consumption expenditure tax theory). Under the theory, this paper examines the economic definition of consumption expenditure in depth and discusses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tax base in detail. Finally, this paper introduces the market price in case of deemed supply as an example, whose tax base may vary with the consumption theories.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tax base for deemed supply should be based on the purchase cost, not the sale price, and if a certain good or service is input in addition to the purchase cost, the cost reflecting the relevant part should be used as the tax base.